보툴리눔 톡신(일명 보톡스) 기업은 성장을 위해 중동 시장을 두드리고 있습니다. 중동 시장에 진출하는 이유는 △구매력 강한 시장 △비교적 경쟁강도가 낮음 △성장세로 요약할 수 있다.
"우리도 오일머니 잡는다"⋯중동 파고드는 톡신기업
국내 대표 보툴리눔 톡신(이하 톡신) 기업인 대웅제약, 휴젤, 메디톡스가 사우디아라비아와 아랍에미리트(UAE) 등 중동 미용 시장에 잇달아 진출하고 있다. 중동 지역의 높은 성장세를 보이는 데
n.news.naver.com
2023년 기준 사우디와 UAE 1인당 GDP는 각각 2만8895달러, 5만2976달러입니다. 1당 GDP를 통해 두 나라 경제 수준이 높고 구매력이 충분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시장조사 기관 아이마크(IMARC GROUP)는 "중동 주요 국가의 진출 장벽이 높은 탓에, 아직 경쟁 구도가 심화되지 않은 상태"라고 평가했어요. 또, "한국산 톡신은 미국·유럽산 제품보다 시술 비용이 30~50% 저렴해 선호도가 증가하고 있다"고 분석했어요.
시장조사 기관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2023년 중동 지역 미용 시장 규모는 389억7030만 달러(약 56조7100억원)입니다. 이 중 사우디 시장은 2023년 78억9900만 달러(약 11조4800억원)이었으며, 2032년에는 187억7800만 달러(약 27조3000억원)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상했어요.
관련 기업으로는 대웅제약, 휴젤, 메디톡스가 있어요. 대웅제약은 미국시장 매출 2위로 품질과 안전성을 입증한 나보타를 경쟁력으로 내세웁니다. 휴젤은 미국, 유럽, 중국 등 톡신 3대 시장에 모두 진출한 국내 최초 기업이죠. 또, 휴젤은 현재 60여 개국에 진출해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메디톡스는 지난해 UAE 국영기업인 테콤그룹과 톡신 생산 공장 설립을 위한 투자계약의향서(LOI)를 체결했어요. UAE 두바이 현지 공장을 거점으로 중동 시장을 공략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rich Times - 부자가 되는 시간
부자가 되는 시간
enrichtimes.com
'주식투자 > 국내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절대 수익률이 절대 중요합니다" 주도주 30선 점검 (1) | 2025.02.21 |
---|---|
SAMG엔터 "파산핑 인기탄 주가, 상승세 이어갈까?" (0) | 2025.02.20 |
[2월 16일] 52주 신고가/신저가 (0) | 2024.02.16 |
[2월 16일] 주식시장 특징주 정리 (0) | 2024.02.16 |
[2월 15일] 52주 신고가/신저가 (0) | 2024.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