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9일) 저는 카페에 이런 글을 남겼어요. "당장 내일 반등을 시작해 올해가 끝날 때까지 상승장을 이어갈 수 있어요". 이렇게 쓴 이유는 두 가지인데요. 주식시장은 당연히 상승과 하락을 하죠. 그 속에서 투자자는 시장을 떠나지 않고 '버티는 게' 중요하다고 말하고 싶었어요. 또, 우리는 하락장은 피하고 상승장에만 투자를 하고 싶어하죠. 그러나 이는 '불가능'하다는 것을 강조하고 싶었어요. 상상에서는 하락장이 시작할 때 주식을 모두 팔고 기다렸다가 상승장이 시작할 때 들어가는 나 자신을 쉽게 그릴 수 있죠. 그러나 현실에서는 항상 늦어요. 망설이고요. 그러다 둘 다 놓치게 됩니다. 하락장에서는 '버티고', 상승장에는 과감히 투자하지 못하죠. 이런 이유 때문에 우리는 '버티고', 할 수 있는 일에 ..
영화 '더 킹'에서는 이런 대사가 나옵니다. "역사적으로 흘러가듯 가". 주식투자에서도 역사를 아는 건 중요합니다. 중요한 순간 가능성 높은 결정을 내릴 수 있기 때문이죠. 미국 주식에 투자할 때일까요? 미국 주식시장 역사를 보며 답을 찾아보겠습니다. 힌트를 드리자면 "용기있는 자가 돈을 번다"고 할 수 있겠네요. "역사적으로 흘러가" S&P 500 살 때인가? "역사적으로 흘러가듯 가" S&P 500 살 때인가?주가가 하락하는 상황에서는 현명한 결정을 내리기 어렵다.enrichtimes.com 인리치타임스에서는 구독자를 위한 서비스 EnPort를 시작합니다. 오늘(31일) 포트폴리오를 공개하고요. 내일 매수에 들어갑니다. 여러분도 함께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4월] EnPort 첫 공개! "이..
국장에 대한 의견이 있어 정리해보겠습니다. 해당 글은 KB국민은행 골드&와이즈더퍼스트 김현섭 도곡센터장이 작성한 기사입니다. "저평가된 국장, 저점 분할매수할 타이밍" "저평가된 국장, 저점 분할매수할 타이밍"지금의 증시 상황을 표현하면 이렇다. 미국 주식 시장은 경제성장률도 높고 물가도 안정적이며 기업실적 등도 좋지만 비싸다. 반면 한국은 경제성장률, 원·달러 환율 등 불확실성이 존재하지만n.news.naver.com ㅇ 미국 증시 현황은 경제성장률 높고, 물가 안정적, 기업실적 등도 좋다. 그러나 '비싸다'.ㅇ 한국 증시 현황은 경제성장률, 원·달러 환율 등 불확실성이 존재하지만 '매우 싸다'. 코스피지수 PBR은 0.87배 수준으로 매우 낮은 편이다. ㅇ 환율이 지금보다 하락한다면 외국인에게 한국..
15일 NH투자증권에서 나온 케이던스 디자인 시스템(CDNS) 리포트다. 제목은 'EDA 사용 지속 증가'다. 목표가의 시장 컨센서스는 212.2달러다. ※ 케이던스 디자인 시스템은 전자 시스템, 반도체, 디바이스를 디자인 및 개발할 때 필요한 시스템 디자인 솔루션 제공업체다. 시놉시스, 멘토 그래픽스 등과 관련 시장 내 과점적 지위를 확보. 글로벌 반도체 모멘텀인 5G, 머신러닝, 하이퍼스케일 컴퓨팅 확산이 반도체 설계 수요를 증가시키고 있다. 애플을 비롯해 아마존, 페이스북, 알리바바 등 글로벌 IT기업들의 ASIC(주문형 반도체) 자체 개발 수요가 강화되면서 반도체 설계툴인 EDA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다. 과점적인 시장 지위를 바탕으로 견고한 성장세 지속 전망된다. 회사의 지난해 4분기 실적은 다음..
15일 KB증권에서 나온 코카콜라 리포트다. 제목은 '커피 사업은 성장동력, 주류 제품 확대 기대'다. 작년 4분기 실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매출액 101억 달러(YoY 6.7%) - EPS 0.45달러(전년 동일) 리포트를 작성한 유종호 연구원은 "커피 사업 성장과 중국 시장이 열리면서 시장 예상을 상회하는 분기 실적을 발표했다"며, "4분기 제품 판매량은 경기 둔화와 러시아 철수로 1% 감소했지만, 제품 믹스 개선과 가격 인상으로 실적 성장을 이뤘다"고 설명했다. 또, "코카콜라 제로 판매가 지난 분기 대비 9% 증가했다"며, "커피 기업인 코스타 인수 이후 커피 사업은 성장 추세이며, 판매량은 11% 성장했다"고 전했다. 회사는 올해 실적 가이던스로 성장률을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 매출..
6일 한국투자증권에서 나온 Ford(F) 리포트다. 제목은 '경쟁에 홀리다'. 포드는 4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6.8% 증가했다고 한다. 그러나, 이는 컨센서스를 하회한 것이다. 매출은 물량 증가와 가격 인상으로 증가했다고 밝혔다. 사업부별 매출을 살펴보자. - 자동차 418억 달러(YoY 18.3%) - 금융 23억 달러(YoY -5%) 반도체 부족 완화로 글로벌 도매 판매량이 115만대로, 3.9% 증가했다고 한다. 지역별로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 북미 64만대(+6%) - 유럽 27만대(+4.7%) - 중국 11만대(-38.6%) - 남미 3만대(동일) - 기타 10만대(+28.8%) 한편, 금융 부문은 중고차 경매가격 하락과 대손상각률 상승 등 주요 지표가 악화되며, 세전 이익이 2억..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