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미국 대통령은 오는 4월부터 수입 자동차에 관세를 부과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에 완성차 업체의 주요 생산 거점에 따라 관세 정책이 미칠 영향이 다를 수 있죠. 우리나라 배터라 3사의 북미 전략에 따라 희미가 엇갈릴 가능성이 제기되는 이유입니다.
트럼프발 車관세 파장에 K-배터리 예의주시…3사 희비 엇갈리나
트럼프발 車관세 파장에 K-배터리 예의주시…3사 희비 엇갈리나
LG엔솔, 美 7개 공장 운영·건설 중…고객사 주력 차종 멕시코 생산은 부담 SK온·삼성SDI, 주력 차종 대부분 미국 생산…美 생산 거점 중요성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멕시코·캐나다산 자
n.news.naver.com
LG에너지솔루션은 선도적으로 북미 시장을 개척했다는 평가를 받아요. LG에너지솔루션은 미국 현재 단독 2개 공장을 포함해 GM, 혼다, 현대차와의 합작 공장 5개를 운영하고 있어요. 물론, 협력 업체의 몇 개 모델은 멕시코에서 생산돼 관세 부과 리스크를 완전히 피해갈 순 없어요.
SK온과 삼성SDI는 LG에너지솔루션보다 더 여유가 있습니다. 두 회사의 배터리가 탑재되는 주려 차종 대부분이 미국에서 생산되기 때문이죠. 특히, SK온은 미국 내 공장에서 배터리를 생산하고 있어 배터리 3사 중 관세 회피 효과가 가장 클 것으로 평가받아요.
삼성SDI는 미국 내 배터리 공장은 없어요. 그러나 삼성SDI 배터리가 탑재되는 리비안 R1T와 지프 랭글러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가 모두 미국 공장에서 생산돼요.
정리해보면 관세 효과에서 가장 자유로울 업체는 SK온입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자체 공장은 있지만, 몇 개 업체의 자동차가 멕시코에서 생산되는 점은 리스크예요. 삼성SDI는 미국 내 배터리 공장이 없다는 점이 단점이고요.
국내 배터리 3사는 여러모로 어려움을 겪고 있어요. 배터리 3사 주가는 최근 반등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강한 상승 추세를 보여주진 못하고 있습니다. 아직은 차분히 지켜볼 때라 판단합니다.
Enrich Times - 부자가 되는 시간
부자가 되는 시간
enrichtimes.com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화투자 "부자란? 나이별 부자가 되기 위해 필요한 자원" (0) | 2025.02.18 |
---|---|
강 대표 "국내 증시 2700 회복 무난, 비관론 거둬들일 때" (1) | 2025.02.17 |
국내 증시 상승세 '외인 자금'으로 이어갈 것 (2) | 2025.02.17 |
엔씨소프트 "리니지를 버려야 살 수 있다" (0) | 2025.02.17 |
한화그룹으로 본 '분산투자 필요성' (0) | 2025.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