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탑스는 코스닥에 속한 종목이다. 업종은 핸드셋이다. 최대주주는 김재경 외 5인이며, 지분율은 38.61%다. 주요 제품은 IT디바이스(61.99%), 기타(21.16%), 자동차부품(9.39%), 가전제품ASS'Y(7.08%)다. 인탑스의 매출은 2020년 주춤했지만, 이후 빠르게 회복했다. 눈에 띄는 점은 올해 1분기 매출을 포함한 연환산 매출이 크게 늘었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 회사는 1분기 주목할 만한 매출 성장을 했다. 이익 성장은 매출액보다 더 눈에 띈다. 영업이익과 순이익 성장 폭이 매출 성장 폭보다 더 큰, '이상적인 모습'을 보인다. 실적 성장과 함께 수익성도 더 좋아졌다. 1분기 연환산 기준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은 각각 11.32%, 9.74%로, 수익성이 계속 좋아진 모습을 보였다...
■ 알트만 Z-스코어는? 기업의 파산가능성을 측정하기 위해 만든 계산식이다. Z-스코어로 기업의 파산가능성은 아래와 같이 판단한다. - Z > 2.99 : 부도가능성 낮음 - 1.81 < Z < 2.99 : 판단 보류 - Z < 1.81 : 부도 가능성 높음 ■ Z-스코어 계산법 알트만의 Z점수는 다섯가지 변수로 계산한다. ※ 알크만 Z-스코어 = 1.2A + 1.4B + 3.3C + 0.6D + 1.0E * A = (유동자산 - 유동부채) / 자산총계 * B = 이익잉여금 / 자산총계 * C = EBIT / 자산총계 * D = 시총(=자본의 사장가치) / 부채총계(=총 부채의 시장가치) * E = 매출액 / 자산총계 알트만 Z-스코어는 △수익성 △레버리지 △유동성 △지급능력 △활동성 등을 활용해 기업이..
안정적인 사업모델로 현금이 흘러넘친다. 그 현금으로 '배당'을 한다. 이런 기업을 사지 않을 이유가 있을까? 한국기업평가와 이크레더블이 작년 실적을 발표했다. 또, '호실적'을 발표했다. 어떻게 이렇게 돈을 안정적으로 벌 수 있을까 신기하다. 두 기업은 마치 '쌍둥이'처럼 호실적을 지속했다. 높은 수익성도 눈길을 끈다. 이렇게 번 돈은 '배당'을 한다. 맨 꼭대기에 있는 최대주주 '피치'사가 돈을 가져가야 하기 때문이다. 개인투자자 입장에서는 이런 구조를 잘 이용하면 된다. 주식투자를 시작한 지 얼마 안되었다면, 이 두 기업을 공부하면 된다. '좋은 기업'이 갖춰야 할 거의 모든걸 갖췄다. 물론, 투자자는 두 기업이 '성장 매력'이 없다고 말한다. 맞는 말이다. 다만, '성장 매력'을 판단하는 건 '고수..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