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수요 둔화는 배터리, 그리고 배터리 소재주 실적 부진으로 이어지죠. 그리고 향후 실적도 좋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런 분위기를 알 수 있는 방법 중 하나가 바로 '공장가동률'이죠. 기사에 따르면 국내 주요 이차전지 소재 업체의 지난해 평균 가동률이 전년 대비 하락했다고 합니다. 특히 전해액 업체 엔켐은 지난해 가동률이 12.3%에 그쳤다고 합니다. 배터리 불황에 소재 업체 공장가동률 '뚝'…절반이상 개점휴업 배터리 불황에 소재 업체 공장가동률 '뚝'…절반이상 개점휴업전기차 수요 둔화로 이차전지 산업이 어려움을 겪자 주요 소재 업체들의 공장 가동률도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차전지 핵심 소재로는 양극재, 음극재, 전해액, 분리막, 동박(전지박) 등이 있n.news.naver.com 기사에서..
20일 KB증권에서 나온 한솔케미칼 리포트다. 제목은 '하반기 실적 개선에 초점'이다. 투자의견과 목표가는 각각 Buy, 25만원(하향)이다. 먼저, 작년 4분기 실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매출액 2165억원(YoY 4.2%) - 영업이익 257억원(YoY -27.6%) - 영업이익률 11.9% 이 실적은 컨센서스를 하회했다. 올해 1분기 실적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예상했다. - 매출액 1946억원(YoY -12.4) - 영업이익 359억원(YoY -33.6%) - 영업이익률 18.5% 김동원, 박주영, 유우형, 이경아 연구원은 "주요 고객사의 생산라인 재조정에 따른 출하감소 영향으로 1분기 실적이 감소할 것으로 추정한다"고 전했다. 연구원들은 "1분기 현재 IT 소재 수요는 메모리 반도체와 T..
얼마 전까지 시장 하락에 대한 연락을 많이 받았다. 다들 힘들다고 하더라. 이게 맞는 건지, 무언가 잘못됐다고 말하는 사람도 많았다. 사실 '거시적 관점'에서는 잘못된 게 하나도 없다. 경제는 두 가지 큰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올라갔으면 내려간다는 점과 지금까지의 성장을 파괴 후 복구하면서 성장한다는 점이다. 지난 2년간 많이 성장했기 때문에, 그에 따르는 조정(=파괴)을 거친 후 다시 더 크게 성장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인생을 바라보는 시점은 지극히 '미시적 관점'이다. 심지어 과거 2년 동안 내가 번 돈에 대해서도 잊어버린다. 그저 지금 계좌가 '깨졌다'는 것만 기억할 뿐. 미시적 관점은 당연한거다. 그래서 괜찮다. 우리는 심리적으로 불안정한 존재다. 자기편향적이며, 세상을 객관적으로 보기 힘들..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