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5일 한국은행은 금융통화위원회를 개최합니다. 이때 기준금리를 결정하게 되는데요. 이때 한국은행이 금리를 내릴 것이라는 예상이 지배적입니다. 이에 시중은행과 저축은행, 새마을금고 등이 예금금리를 하락하는 추세입니다. 돈을 맡기는 소비자 입장에서는 다른 투자 대안이 필요한 상황이죠.
"이젠 3%도 안 돼?" 예금 깬 고객들 '여기' 몰린다
"이젠 3%도 안 돼?" 예금 깬 고객들 '여기' 몰린다
한국은행이 25일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금리를 내릴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면서 시중은행들이 잇달아 예금금리를 낮추고 있다. 저축은행과 새마을금고 등 2금융권 예금금리도 하락세다. 이에 금
n.news.naver.com
예금 투자 대안으로 꼽히는 금융상품으로는 달러 예금과 금, 은이 꼽힙니다. 그러나 최근 금과 은은 구하기 힘들어지고 있죠. 이에 달러 예금이 현실적인 예금 대안 상품으로 꼽힙니다.
달러 예금에 가입하기 위해서는 2가지를 살펴봐야하는데요. 바로 '금리'와 '환율'입니다. 먼저 금리는 1년 기준 3.5~4% 수준을 보이고 있습니다. 원화 예금보다는 높은 수준이라 매력적이죠.
또 다른 변수는 '환율'입니다. 달러가 저렴할 때 예금에 가입하면 환차익을 얻을 수 있죠. 그러나 환율은 유리한 상황이라 보기 힘들죠. 과거 최고점이었던 달러당 1477원과 비교해서는 내려왔지만, 과거 수준과 비교하면 여전히 높은 수준입니다.
최근 3개월동안 환율은 1393~1477원 사이를 오르내렸어요. 환율 방향을 알 수 없지만, 달러당 1400원이 넘는 수주은 과거 10년을 봐도 최고 수준이죠. 부담스러운 상황입니다. 이에 원화 예금을 대신할 상품이 달러 예금이라고 말하기는 어려워 보이네요.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석화의 봄은 언제 올 것인가?" 포인트는 '이것' (0) | 2025.02.20 |
---|---|
"2차전지 종목에 도전해볼때?" (1) | 2025.02.20 |
게임업 현황과 관심주 정리 (0) | 2025.02.18 |
반도체 "관세 영향 덜 받으면서 가격 부담 없는" (1) | 2025.02.18 |
한화투자 "부자란? 나이별 부자가 되기 위해 필요한 자원" (0) | 2025.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