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코스피 급락 사례를 분석하며 향후 코스피가 어떻게 움직일 지 분석했어요. 물론 예상은 무조건 '빗나갑니다'. 그러나 다양한 시나리오와 대응법을 준비하고자 예상을 해보았어요. '코스피 급락' 과거 사례보며 그리는 미래 '코스피 급락' 과거 사례보며 그리는 미래코스피와 코스닥이 급락했어요. 7일 코스피는 전일 대비 5.54% 하락한 2328.92, 코스닥은 5.13% 하락한 652.12에 장을 마쳤어요. 코스피는 작년 8월 5일 8% 넘게 떨어진 후 8개월 만에 5% 이상 떨어졌고요.enrichtimes.com시장이 불안한 가운데 '라떼 프로젝트'를 시작했어요. 오늘(7일) 첫 종목을 공개했고, 내일(8일) 공개한 종목을 매수할 계획입니다. 해당 서비스는 후원금 5000원으로 시작할 수 있기 때문에 ..
7월 첫째주 코스피와 코스닥은 각각 +1.96%, +5.07%를 기록했다. 시장 지수는 반등을 성공했고, 특히 코스닥의 상승이 눈에 띄었다. 시장 상승에 따라 계좌 수익률도 회복했다. 계좌 수익률은 일주일 전 -8%에서 이번주 -5.83%로, +2.17% 포인트 상승했다. 코스닥 상승을 생각하면 다소 아쉬운 모습이다. 예수금은 4만1574원으로, 총 자산은 28만7944원이다. 지난주 자산 평가액은 28만3814원으로, 4130원 증가했다. 초기 투자금 28만1414원으로, 자산 수익률은 2.32%다. 주간 상승률이 높안 10개 기업을 보면, '바이오·제약'주가 눈에 띈다. 또,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가 인기를 끌면서 관련주로 '에이스토리'의 주가가 상승했다. 시총 상위 20개 기업의 주간 등락률을..
얼마 전까지 시장 하락에 대한 연락을 많이 받았다. 다들 힘들다고 하더라. 이게 맞는 건지, 무언가 잘못됐다고 말하는 사람도 많았다. 사실 '거시적 관점'에서는 잘못된 게 하나도 없다. 경제는 두 가지 큰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올라갔으면 내려간다는 점과 지금까지의 성장을 파괴 후 복구하면서 성장한다는 점이다. 지난 2년간 많이 성장했기 때문에, 그에 따르는 조정(=파괴)을 거친 후 다시 더 크게 성장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인생을 바라보는 시점은 지극히 '미시적 관점'이다. 심지어 과거 2년 동안 내가 번 돈에 대해서도 잊어버린다. 그저 지금 계좌가 '깨졌다'는 것만 기억할 뿐. 미시적 관점은 당연한거다. 그래서 괜찮다. 우리는 심리적으로 불안정한 존재다. 자기편향적이며, 세상을 객관적으로 보기 힘들..
올해 초에 국내와 미국 증시에 대해 분석을 한 후 '의견'을 제시했다. 참고로, 올해는 '대형주'에 투자하기 좋을 때라는 의견을 제시했다. ☞ 2021년 국내와 미국 증시 흐름.. 2022년도는? 먼저, 연초 대비 시장 흐름을 살펴보자. 코스피는 -8.77%, 코스닥은 -10.32%를 기록 중이다. 한편, 시가총액의 크기별 등락률은 △대형주 -8.24% △중형주 -3.47% △소형주 +2.32%로, 시총이 작을수록 수익률이 좋다. 참고로, 해당 분류는 '코스피 종목'의 분류다. 이렇게 보면, 나의 의견이 '틀렸다'. 물론, 올해는 이제 막 4월 중순이 되었을 뿐, 아직 8개월하고도 반이 남은 시점이라 '틀렸다'고 단정짓기는 이르다. 그러나, 주식시장의 많은 투자자들은 '급하기 때문에' 대형주를 추천했던 ..
주식시장에는 여러 계절적 또는 시기적 효과가 있다. 그중 연초가 되면 항상 언급되는 효과가 바로 '1월 효과'다. 이 1월 효과는 '뚜렷한 호재가 없어도 1월 중 주가가 다른 달에 비해 많이 오르는 특이 현상'을 뜻한다.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는 대표적 이유는 '절세'다. 절세를 위해 12월에 주식을 매각한 후 1월에 다시 매수하는 것 때문에 1월 효과가 발생한다고 말한다. 그런데, 올해는 이 1월 효과가 무색하다. 1월이 중간 지점을 지난 가운데 코스피와 코스닥은 각각 3.81%, 8.71% 하락을 기록 중이다. 올해는 '절세'보다 더 중요한 이슈가 있었던 걸까? 아니면 원래 1월 효과라는 말이 과장된 것일까? 이를 알기 위해 2011년부터 2021년까지 11년 동안의 1월 효과를 살펴봤다. 먼저, 해당..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