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양식품 투자 포인트 # Megabrand(메가브랜드) '불닭볶음면' 보유 # 전체 매출에서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56.6% # 수출로 올리는 매출 중 면 스낵 비중은 98% ■ 1분기 실적 부진 # 2021년 1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46% 감소 # 환율, 원재료, 해상운임비 등 영향 → 수출비중이 높은 삼양식품에 큰 타격 # 다만, 현지 수요가 하락된 것은 아니며, 해외 시장 진출 지역 다각화 기대 ☞ NH투자증권, '삼양식품, 쉽지 않았던 외부 변수' 참고 (2021년 5월 18일) ■ 국내 시장 매출 부진 # 내수시장 면스낵 매출액 전년 동기 대비 -23% # 국내 라면 시장 점유율 하락 추세가 지난 2020년 1분기 이후 지속 중 ☞ 대신증권, '부진한 내수, 선방한 수출' 참고(..
게임산업 기업들의 투자지표를 살펴보겠습니다. 모든 지표는 연환산(최근 4분기 합산)기준입니다. 순서는 시가총액이 큰 순서로 나열했습니다. 게임업 5대장은 ▲엔씨소프트 ▲넷마블 ▲펄어비스 ▲카카오게임즈 ▲컴투스입니다. 엔씨소프트가 20조가 넘는 절대군주입니다. 그 다음 순위인 넷마블의 시가총액은 10조대입니다. 3위 펄어비스(3조5289억원)부터는 격차가 큽니다. 최근 상장한 카카오게임즈의 시총이 3조4212억원이라는 점에서, '카카오'의 위력을 다시 한 번 실감합니다. [표] 게임산업 투자지표 ■ 현재 잘하는데(ROE) 싼 기업(P/E & P/B) 게임 기업의 경우 P/B가 전반적으로 높습니다. 기존 제조업과 같이 P/B 1배 이하면 기업이 저평가됐다고 단순히 생각해서는 안됩니다. 게임기업의 평균 P/B..
카지노 업체입니다. 비즈니스가 도덕적이진 않지만, 돈을 잘 법니다. 다른 카지노 업체와 다른 점은 'SNS기반 카지노 게임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입니다. 카지노와 온라인 게임의 특성을 지닌 기업이라 할 수 있습니다. P/E와 P/B를 보면, 5년 평균에 비해 두 지표가 모두 하락했습니다. 반면, ROE는 비슷한 수준입니다. 회사의 수익성은 큰 변화 없으나, 시장에서의 평가는 달라졌습니다. 즉, 여전히 돈 잘 버는 기업을 더 싸게 살 수 있는 상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표] 더블유게임즈 - 아이투자 통합검색 ■ 2021년 자회사 상장 재추진 예상. 밸류에이션 매력 부각 - 케이프증권 ('20.11.11) 빼빼로데이에 나온 리포트입니다. 자회사 상장을 재추진한다는 제목을 달았습니다. 이 부분은 밸류에이션..
■ 잘나가던 주가..조정 받다 코로나로 증시가 조정을 받은 3월 이후 V자 반등이 나왔습니다. 파이오링크 주가도 가파르게 상승해 저점대비 3.5배 오른 1만7700원까지 상승했습니다. 다만, 최고점을 찍은 후 빠르게 조정을 받아 1만3750원(최고가 대비 -22.3%)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그래프] 파이오링크 일기준 종가 차트 파이오링크는 작년부터 실적이 크게 성장했고, 수익성이 좋아졌습니다. 그리고 주가 상승으로 이어졌습니다. [표] 파이오링크 - 아이투자 통합검색 실적과 주가를 같이 봤을 때, 최근 주가 조정은 실적 성장보다 앞서갔던 주가가 제자리를 찾는 듯한 모습입니다. 다만, 현재 증시가 상승장을 펼치는 가운데 파이오링크는 소외받습니다. 소외받는 이유는 ▲현재 사람들의 주목을 받는 관련주가 아니..
12월 1일날 발간된 삼성증권의 리포트를 읽었습니다. 제목은 ‘에스티팜, 차별적인 mRNA 생산 기술 확보’입니다. 이 리포트를 읽으며 다시 한번 ‘제발 함부로 덤비지 마세요’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리포트 내용이 한글로 적혀 있지만,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불친절한 리포트기도 하지만, 그만큼 이 회사에 대해 정확히 이해하고 투자하기 힘들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리포트 내용을 살펴보기 전 현 상황을 정리해보겠습니다. 에스티팜은 올해 주가가 250.67% 올랐습니다. 현재 주가는 10만4500원입니다. 삼성증권의 리포트는 12월 1일날 나왔고, 투자의견 ‘BUY’ 목표가 8만8000원을 제시했습니다. 현 주가는 목표가를 가뿐히 넘었습니다(목표가 대비 +18.7%). [그래프] 에스티팜 일봉 차트 어떤 이유로 에..
■ M&A로 미래를 그린다 - 신한금투 신한금투에서 SK머티리얼즈 관련 리포트를 발간했네요.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① 4분기 영업이익 664억원으로 컨센서스 상회 전망 - 4분기 매출액 2579억원(전년비 +27.1%), 영업이익 664억원(전년비 +35.1%)으로 컨센대비 상회할 전망 - ▲삼성전자 DRAM B/G +4%, NAND B/G +5% ▲SK하이닉스 DRAM B/G +5%, NAND B/G +2% ▲애플향 중소형 OLED 라인 가동률 상승 때문 ② '21년 영업이익 3016억원으로 전년비 26.4% 증가 전망 - '20년 매출액 9444억원(전년비 +22.3%), 영업이익 2386억원(전년비 +11.1%) 예상 - 반도체향 프리커서, WF6 등 고부가가치 제품 판매가 급증하고 있기 때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