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 유진투자증권에서 작성한 제일기획 리포트다. 이 리포트는 상반기 실적을 정리한 리포트로, 투자의견은 BUY, 목표가는 2만8000원이다. 리포트를 작성한 이현지 연구원은 투자 포인트로 "1)북미 고성장 지속, 2)디지털 중심 성장"을 제시했다. 이 연구원은 "비우호적인 업황이 지속되는 가운데 북미 지역 두 자릿수 성장세 이어가며 고성장을 지속할 전망이다"며, "특히 북미 지역은 콘텐츠 중심 성장으로 디지털 광고 안에서도 확장할 사업영역이 많고, 북미법인과 자회사간의 크로스 셀링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면서 선순환 구조 형성해 지속 가능한 성장을 기대한다"고 분석했다. 또, "전사 디지털 비중은 53%까지 꾸준히 확대한 점이 긍정적이다"며, "하반기도 디지털 중심 성장세 이어가며 수익성을 방어할 것으로 보..
31일 유진투자증권에서 작성한 DB하이텍 리포트다. 제목은 '가동률 하락 중이나, SIC, GaN 공정개발로 기획 모색'이다. 투자의견은 BUY(유지), 목표가 7만원(상향)이다. DB하이텍의 1분기 실적은 다음과 같다 매출액 2982억원(YoY -24%) 영업이익 830억원(YoY -45%) 영업이익률 27.8% 이승우 연구원은 "반도체 수요 침체에 따른 가동률 하락이 주요 원인이며, 이 가운데 DDI 생산 비중이 높은 Fab2 가동률이 60% 초반까지 하락했다"고 말했다. 이 연구원은 올해 실적 전망치를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매출액 1조1840억원(YoY -29.3%) 영업이익 4770억원(YoY -37.9%) 영업이익률 36.6% 이 연구원은 "2분기에는 DDI 업체와 PMIC 업체들의 재고 조정..
5월 4째주 코스피와 코스닥은 각각 +0.83%, +0.18%를 기록했다. 코스피와 코스닥은 4주 연속 하락 후 2주 연속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향후 이 반등세를 이어갈 수 있을지 주목된다. 블로그 공개포트는 현재 '명신산업' 한 종목에만 투자하고 있다. 그리고 투자자산의 50%가 이 종목에 투자되어있다. '원 픽 리스크(One Pick Risk)'다. 명신산업 주가는 지난 한 주 3.96% 떨어졌다. 시장이 오름세를 보였다는 점에서, 하락폭이 더 커보인다. 지난 주 6%대였던 수익률은 1.86%까지 하락했다. 하나의 종목만 보유하다 보니, 이 종목의 수익률에 따라 포트 수익률이 움직인다. 지난주 블로그 포트 수익률은 2.91% 포인트 하락한 8.11%를 기록했다. 여러모로 아쉬운 모습이다. ■ 블로..
25일 교보증권에서 나온 에스엘 리포트다. 제목은 '미래차 디자인의 완성은 LED 램프'다. 투자의견은 Buy(신규), 목표가는 5만원이다. 에스엘의 1분기 실적은 다음과 같다. - 매출액 1조2110억원(YoY 43.4%) - 영업이익 1040억원(YoY 153.6%) - 영업이익률 8.6% 남주신 연구원은 "에스엘의 주가는 1분기 북미 시장 호실적이 확인됨에 따라 상승했다"며, "호실적은 일회성 요인이 아니며, 하반기에는 기아 EV9·카니발·쏘렌토, 현대차 싼타페, GM SUV 출시에 따른 모멘텀이 강하게 작용할 전망이다"고 설명했다. 에스엘의 2023년 수주 목표는 1.33조원(YoY 158%)로 역대 최대다. 남 연구원은 "3가지 이유로 연간 실적 호조를 전망한다"고 말했다. 그 이유에 대해 정리..
23일 SK증권에서 작성한 와이엠텍 리포트다. 제목은 '구조적 성장이 예상되는 EV 릴레이 전문 제조업체'다. 투자의견과 목표가는 제시하지 않았다. 와이엠텍은 2차전지 배터리에 필수적으로 탑재되는 EV릴레이 전문 제조업체다. EV릴레이는 배터리의 전원과 충전 기능을 On/Off하는 핵심 부품으로, 1)ESS, 2)전기차, 3)전기차 충전기, 4)태양광 인버터 등에 주로 활용된다. 작년 연간기준 매출 비중은 ESS 45%, 전기차 충전기 25%, 상용차 10%, 기타 20%다. 지역별로는 중화권 45%, 유럽 20%, 국내 35%로, 해외 매출 비중이 65% 이상이다. 허선재 연구원은 "지금은 1)향후 구조적 성장이 예상되는 전기차 충전기 사업자향 EV릴레이 판매량 확대, 2)(승용)전기차향 신규 공급 준..
23일 IBK투자증권에서 작성한 빙그레 리포트다. 제목은 '2분기도 호실적 기대, 추가 상승 여력 높아'다. 투자의견은 매수(유지), 목표가는 7만1000원(상향)을 제시했다. 빙그레의 1분기 실적은 다음과 같다. 매출액 2935억원(YoY 14.8%) 영업이익 127억원(YoY 702.7%) 영업이익률 4.3% 김태현 연구원은 "1분기 실적은 시장 기대치를 큰 폭으로 상회했다"며, "빙그레(별도) 주력제품 가격 인상 효과와 수출 호조에 기인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자회사 해태아이스크림은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9%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이 마케팅 확대 영향으로 감소했다"고 전했다. 또, "비성수기인 1분기에 4%대 영업이익률(연결 기준)은 지난 2012년 이후 11년만이라는 점에서 고무적으로 평가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