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다올투자증권에서 작성한 솔브레인 리포트다. 제목은 '고객사 감산에도 불구 견조한 실적 전망'이다. 투자의견은 'BUY(유지)', 목표가는 26만원(상향)이다. 올해 1분기 실적을 다음과 같이 예상했다. - 매출액 2654억원(YoY -5.8%) - 영업이익 493억원(YoY -11.9%) - 영업이익률 18.57% 리포트를 작성한 김양재 연구원은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업계 감산에도 불구하고 품목 다변화 수혜로 견조한 실적을 지속할 것이다"고 전망했다. 먼저, 반도체에 대해서는 "메모리 업계는 재고 소진을 위해 Capex를 삭감하고 감산하는 한편, 원가 절감을 위해 DRAM Migration과 NAND 고단화 공정 업그레이드가 진행되는 중이다"며, "2023년 감산과 Fab 전환 효과가 상쇄되며 매..
21일 IBK투자증권에서 작성한 롯데케미칼 리포트다. 제목은 '거함이 방향타를 틀다'다. 투자의견은 '매수(유지)', 목표가는 25만원이다. 리포트를 작성한 이동욱 연구원은 "MEG/PX/TPA 등 공급 과잉 제품에 대한 포트폴리오 조정을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부타디엔.프로필렌 체인에 대한 포트폴리오 개선도 필요해 보인다"며, "롯데GS화학/HPC 프로젝트 완공으로 세계적으로도 압도적인 부타디엔 외부 판매 포지션을 보유하고 있고, 프로필렌 유도체는 100% PP로 구성되어 있기 떄문이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원은 "롯데케미칼은 일진머티리얼즈를 2.7조원이라는 높은 프리미엄을 주고 인수했다"고 말했다. "다만, 일진머티리얼즈는 동박 제품에 대한 Top-Tier급 기술력을 보유했다"며, "말레..
21일 미래에셋증권에서 작성한 넥슨게임즈 리포트다. 제목은 '중국 판호 개방 스토리 최선호주 유지'다. 투자의견은 '매수(유지)', 목표가 2만6000원(+37%)이다. 올해 연간 실적은 다음과 같이 예상했다. - 매출액 1830억원(YoY 38.6%) - 영업이익 150억원(YoY 200%) - 영업이이률 8.2% 리포트를 작성한 임희석 연구원은 "넥슨게임즈의 서브컬쳐 수집형 RPG 블루아카이브가 중국 외자판호 발급에 성공했다"고 전했다. 또, "서브컬쳐 퍼블리싱 명가인 요스타의 자회사 상하이로밍스타에서 현지 서비스를 담당할 예정이다"며, "기존 블루아카이브의 메인 타겟 지역인 일본도 요스타에서 퍼블리싱 중이다"고 말했다. 임 연구원은 "중국 매출은 2024년 1분기부터 발생할 것으로 가정했다"며, "..
21일 하나증권에서 작성한 LG생활건강 리포트다. 제목은 '1Q23 Pre: 대중 수요 부진 지속'이다. 투자의견은 'BUY', 목표가는 76만원(하향)을 제시했다. 올해 1분기 실적에 대해 다음과 같이 예상했다. - 매출액 1조7000억원(YoY 1%) - 영업이익 1443억원(YoY -18%) - 영업이익률 8.48% 올해 1분기 실적은 시장 컨센서스를 하회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리포트를 작성한 박은정 연구원은 "대중국 매출 감소로 화장품 부문 이익 추정치 하향이 불가피하다"며, "전년도 낮은 기저에도 면세와 중국 매출은 각각 전년 동기 대비 25%, 11% 감소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박 연구원은 부진 요인으로 3가지를 꼽았는데, "1)면세 채널의 송객 수수료 근절 기조로 따이공 수요가 전반..
21일 IBK투자증권에서 나온 오리온홀딩스 리포트다. 제목은 'Global Orion, Great Valuation'이다. 투자의견은 '매수(신규)', 목표가는 2만1000원이다. 리포트를 작성한 남성현 연구원은 "올해 오리온그룹은 한 단계 성장하는 원년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남 연구원은 "제과사업부는 한국, 중국 이외 국가들의 성과가 가시화되기 시작하면서 글로벌 식품 기업으로 안착할 가능성이 높고, 공격적인 투자를 통해 관련 영역을 더욱 넓힐 것으로 기대한다"며, "여기에 그동안 부진했던 영상사어부는 작품 수 확대와 공급 채널 증가, 전방산업 업황 회복에 따라 영업실적 개선 가능할 것으로 판단한다"고 분석했다. 또, "오리온 제과 사업부 확장과 증설, 그리고 주요 종속회사 실적 회복에 따라..
20일 하나증권에서 나온 현대모비스 리포트다. 제목은 '2022년 물류비가 7677억원 증가했었다'다. 투자의견은 BUY, 목표가는 27만원이다. 리포트를 작성한 송선재, 안도현 연구원은 "현대모비스의 최근 2년의 성장은 이익 증가를 동반하지 못했다"며, "매출액이 2020년 36.6조원 → 2022년 51.9조원으로 42% 증가했는데,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1.83조원 → 2.03조원으로 11% 증가에 그쳤다"고 전했다. 이에 영업이익률은 2020년 5% → 2021년 4.9% → 2022년 3.9%로 하락했다. 밸류에이션도 2020년 0.72배 → 2021년 0.67배 → 2022년 0.49배로 하락했다. 현재는 0.5배 수준에서 오르내린다. 두 연구원은 "밸류에이션 회복과 주가 상승을 위한 이익 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