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장에 대한 의견이 있어 정리해보겠습니다. 해당 글은 KB국민은행 골드&와이즈더퍼스트 김현섭 도곡센터장이 작성한 기사입니다.
"저평가된 국장, 저점 분할매수할 타이밍"
지금의 증시 상황을 표현하면 이렇다. 미국 주식 시장은 경제성장률도 높고 물가도 안정적이며 기업실적 등도 좋지만 비싸다. 반면 한국은 경제성장률, 원·달러 환율 등 불확실성이 존재하지만
n.news.naver.com
ㅇ 미국 증시 현황은 경제성장률 높고, 물가 안정적, 기업실적 등도 좋다. 그러나 '비싸다'.
ㅇ 한국 증시 현황은 경제성장률, 원·달러 환율 등 불확실성이 존재하지만 '매우 싸다'. 코스피지수 PBR은 0.87배 수준으로 매우 낮은 편이다.
ㅇ 환율이 지금보다 하락한다면 외국인에게 한국을 더 싸보이게 만드는 효과가 있다. 원·달러 환율이 높을 때(원화 약세 구간) 코스피 지수는 낮았다. 환율이 안정되면 코스피 지수가 상승했다.
ㅇ 국내 주식시장이 연속으로 안 좋았던 때가 별로 없었다. 작년 국내 증시는 세계 증시 중 바닥권이었다. 올해는 확률적으로 작년보다 좋을 수 있다.
ㅇ 보수적인 투자 방법으로 '저평가된 현재 지수에서 일부 매수'. 하락 시 '추가 매수한다'는 설정. 여유 자금을 남겨두고 투자하기를 권한다.
평범한 의견입니다. 그만큼 '기본'이죠. 특별할 건 없습니다. 혹시 관련해 모르고 있던 분이 있다면 해당 내용을 정리하면 좋겠네요.
그러나 환율 부분은 주의해야 합니다. 환율과 코스피 지수를 분석해보면 '환율이 높을 때 코스피 지수가 낮았다'는 분석은 언뜻 보기에 맞는 것처럼 보입니다. 그러나 원인과 결과를 분명히 해야 합니다. 환율이 높아서 코스피 지수가 낮아지는 게 아닙니다. 외국인이 코스피를 떠나면서 원화를 달러로 바꾸면서 환율이 높아지는 것입니다. 환율이 높아서 코스피가 낮아지는 게 아닙니다.
https://blog.naver.com/insightbank/223716518744
"증시, 정말 환율이 문제일까?" 오해 풀자
올해 들어 코스피와 코스닥은 각각 3.72%, 5.86% 상승했어요. 국내 증시는 지난해 부진했지만 올해 들어 반...
blog.naver.com
우리나라 주식시장에 투자한 외국인 입장에서는 환율이 낮을 때가 유리합니다. 즉, 원화가 강세를 보일 때 수익률이 더 상승합니다. 외국인 입장에서 환율이 1달러 = 1000원할 때 투자했다가, 이후 1달러 = 900원할 때 국장을 떠난다고 가정해볼게요.
ㅇ 투자할 때 1달러 → 1000원
ㅇ 팔았을 때 1000원 → 1.11달러
국장에 투자한 외국인은 환율이 내려갔을 때(달러 약세, 원화 강세) 수익을 봅니다. 반대로 환율이 올라갔을 때는 손해를 보죠. 이에 외국인 입장에서 환율 높아 국내 주식시장(=코스피)을 떠나는 건 손해를 보는 일입니다. 환율 상승 → 외국인 이탈 → 코스피 하락한다는 분석은 원인과 결과를 거꾸로 본 거죠.
또, 환율이 하락하면 외국인이 국내 증시를 더 싸게 보인다는 말도 잘못 분석한 거예요. 환율이 하락하면 원화가 강해지는데요. 달러를 가진 외국인은 환율이 하락하면 더 비싼 가격에 주식을 매수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보다는 외국인이 한국 주식에 투자하기 위해 환전을 하게 되고, 원화 수요가 증가하면서 원화 가치가 상승한다고 봐야 하죠.
저는 올해 국장에 투자하기 좋을 때라고 주장해왔습니다. 그리고 로봇, 바이오, 반도체를 중심으로 투자에 나서면 좋겠다고 했어요. 단, 로봇과 바이오는 투자 난이도가 높기 때문에 많은 공부가 필요하다고 말했고요. 아직까지는 제 주장이 맞았습니다. 그러나 '맞았을 때 틀릴 때를 준비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저만의 '역발상 생각=투자'라고 할 수 있죠. 항상 조심해서 나쁠 건 없습니다.
Enrich Times - 부자가 되는 시간
부자가 되는 시간
enrichtimes.com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퇴양난' 식품업계, 최선호주는 OOO (0) | 2025.02.12 |
---|---|
'뚝심의 영원무역', 스캇 살려낼까? (0) | 2025.02.10 |
트럼프 '관세 부과 카드' 효과와 주의할 점 (0) | 2025.02.10 |
LG생활건강 '뷰티 디바이스'로 부활하나? 핵심 쟁점 2가지 (3) | 2025.02.10 |
"비야디 효과로 전기차 가격이 내렸으면 좋겠다" (2) | 2025.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