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초에 국내와 미국 증시에 대해 분석을 한 후 '의견'을 제시했다. 참고로, 올해는 '대형주'에 투자하기 좋을 때라는 의견을 제시했다. ☞ 2021년 국내와 미국 증시 흐름.. 2022년도는? 먼저, 연초 대비 시장 흐름을 살펴보자. 코스피는 -8.77%, 코스닥은 -10.32%를 기록 중이다. 한편, 시가총액의 크기별 등락률은 △대형주 -8.24% △중형주 -3.47% △소형주 +2.32%로, 시총이 작을수록 수익률이 좋다. 참고로, 해당 분류는 '코스피 종목'의 분류다. 이렇게 보면, 나의 의견이 '틀렸다'. 물론, 올해는 이제 막 4월 중순이 되었을 뿐, 아직 8개월하고도 반이 남은 시점이라 '틀렸다'고 단정짓기는 이르다. 그러나, 주식시장의 많은 투자자들은 '급하기 때문에' 대형주를 추천했던 ..
EPS는 Earnings Per Share의 약자다. 우리 말로 주당순이익이라 한다. 회사가 경영 활동으로 번 순이익을 주식 수로 나누어 계산한다. 즉, 회사가 한 주당 순이익을 얼마나 올렸는지 알려주는 지표다. 그래서 주식 투자자에게 가장 중요한 지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EPS를 볼 때 주의해야 할 점이 있다. 이는 '순이익'을 볼 때 주의해야 하는 점과 같다. 이 '주의점'을 잘 반영해 만든 또 다른 EPS가 바로, Diluted EPS(희석주당순이익)과 EPS without NRI다. ■ Diluted EPS(희석주당순이익) 쉽게 말해 EPS를 희석시킬 가능성이 있는 부분을 감안해 EPS를 계산한 것을 '희석주당순이익'라 한다. 만약 내가 EPS $10의 주식을 $100에 주고 샀다고 가정하..
가치투자에 대해 엄청 '특별한' 무언가가 있진 않다. 다만, 가치투자를 잘 모르거나, 이제 주식투자를 시작하는 분께는 '가볍게' 시작하기 좋은 책이다. 일단 책이 작고, 분량이 적다. 이것만으로도 부담이 없다. 또한, 읽기에 부담되는 산수, 공식, 회계 등이 적다. 이는 반대로 특정 지식 또는 기술을 얻고자 하는 이에게는 맞지 않다는 의미다. 물론, 가치투자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보려는 중수 이상 투자자에게도 의미있는 책이다. 장마리 에베이야르는 우리나라에 잘 알려지지 않은 투자 대가다. 그는 26년간 누적수익률 4395%를 기록한 펀드 매니저다. 연평균 수익률로는 15.76%다. 같은 기간 비교대상인 MSCI 선진국지수의 누적 순수익률은 1514.25%로 2880%p 앞섰다. 이 시장 지수는 연평균..
ETF는 이제 '유행'이라는 말이 안 맞다. 그냥 '대세'다. 우리나라 증권사 중에서는 이 대세에 가장 앞서 있는 곳이 '삼성증권'이다. 그들은 KODEX라고 이름 붙인 ETF 상품을 운용한다. 그런데 최근 '공격적인 행보'로 ETF 시장 점유율을 빠르게 높여나가는 증권사가 있다. TIGER라는 ETF 이름을 쓰는 '미래에셋증권'이다. ☞ 삼성운용 아성 위협하는 미래에셋…ETF 점유율 격차 6%로 좁혔다 (조선비즈) 미래에셋증권이 흥미로운 ETF를 출시한다. 바로, 나스닥100지수를 2배 추종하는 TIGER 미국 나스닥 100 레버리지 ETF다. 개인이 사랑하는(?) ETF인 QQQ, QLD(나스닥 2배), TQQQ(나스닥 3배)를 대체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 글로벌 혁신을 주도하는 나스닥 100지수..
이전에 한 커뮤니티에서 이런 글을 본 적이 있다. "브랜드 이미지를 지키기 위해서는 중고등학생의 '잇 템(It item)'이 되면 안된다". 특히 '프리미엄 브랜드'일수록 더 그렇다. 명품은 대중성보다는 '희소성'에 가치를 두기 때문이다. ☞ "샤넬백 가격 이렇게 떨어질 줄이야…" 리셀업자들 '망연자실' (한국경제) 또한, 우리는 '가격은 영원히 오르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이콘이 '시장'에서 활동하는 한 언제나 가격이 오르고, 조정받고 반등하고를 반복한다. 주식시장도 이와 같다. 우리나라 증시뿐만 아니라 한때 엄청난 찬송을 받던 미국 시장도 그렇다. 그래서 우리는 긴 시각의 안목으로 시장을 볼 필요가 있다. '사람은 죽는다' 정도는 아니지만, '오르면 내려가고, 내린 후 올라간다'는 시장의 ..
오리온홀딩스와 오리온은 사업적으로 아주 밀접한 관계에 있다. 오리온홀딩스 매출의 97%가 오리온으로 부터 나오기 때문이다. 이런 특징을 바탕으로 한다면, 오리온과 오리온홀딩스의 주가도 같은 방향으로 움직여야 한다. 다시 말해 '상관계수가 높은, 1에 가까운 수치'를 계속 보여야 한다. ☞ 오리온홀딩스, 올해가 기대된다 그러나 지난 5년간 실제 상관계수는 최대 0.84에서 최소 -0.57로, 두 종목의 주가가 다르게 움직인 적도 제법있다. 우리는 이렇게 지주사와 사업회사의 주가가 다른 방향으로 움직일 때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종목에 투자하는 전략을 사용할수 있다. 과거 5년 두 기업의 주가 흐름을 보면 2020년에 가장 상관관계가 적었다. 이때는 오리온 주가만 잘 나가는 특징을 보였다. 이후 오리온홀딩스..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