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주식에 투자하는 대표적인 이유가 바로 '배당주'다. 미국은 '분기 배당'을 실시하는 기업이 많다. 또한, '월 배당'을 안정적으로 주는 기업도 많아 배당주 투자자들의 '성지'와 같은 곳이다. 다만, 미국 배당주 투자라고 해서 '배당주 투자에 필요한 원칙'이 다르진 않다. 배당주 투자를 위해 우리가 알아야할 것은 무엇인가? 배당주 체크리스트 배당주 투자를 위해 점검해야 할 리스트를 보자. 아래 리스트는 도서 '뉴욕주민의 진짜 미국식 주식투자(뉴욕주민 지음)'을 참고했다. 기업실적(Earnings and Cash Flow) 기업의 이익(EPS)과 현금흐름(AFFO, FCF)이 배당과 함께 성장하고 있는가? 배당성향 변화 추이 배당성향을 올려서 배당금이 커진 것은 경영진과 이사회과 기업의 미래이익이 상..
※ 아이작 뉴턴은 영국 출생의 물리학자다. 그는 만유인력의 법칙을 발견한 과학혁명의 완성자라고 불린다. 그가 발견한 대표적 운동법칙 3가지는 관성, 힘과 가속도, 작용과 반작용 원리인데, 이 법칙이 주식시장에도 적용된다. 뉴턴의 3가지 법칙은 어떻게 주식시장에 작용되는가? 제 1법칙 '관성' 관성이란, 외부로부터 물체에 어떤 힘이 작용하지 않는 한, 그 물체가 자신의 운동 상태를 계속해서 유지하려고 하는 성질이다. 이 법칙은 주식시장에서 주가가 오르는 종목이 계속 오르고, 내리는 종목이 계속 내리는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 주식 투자자는 '지금이 거품'이라고 판단하는 종목이 더 가고, '지금이 바닥'이라고 생각했던 종목이 지하까지 내려가는 현상을 목격한다. 이는 '관성의 법칙'으로 설명할 수 있는데, 오..
※ 가치주와 성장주, 많이 들어본 말이다. 투자 스타일을 구분하는 가장 대표적 방법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널리 알려진 가치주와 성장주의 개념과 그 차이, 구분법은 실제 투자자에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 왜 그럴까? 먼저, 일반적으로 알려진 가치주와 성장주의 개념을 정리하자. 그 후 그 개념을 반박하며 투자자를 위한 '진정한 투자'의 정의를 내려보자. 가치주의 의미와 오해 먼저,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말하는 가치주에 대해 알아보자. 가치주 스타일은 '회사의 가치대비 주가가 싼 종목'을 사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리고 '가치대비 주가가 싼' 종목을 찾는 방법으로 PER(주가순이익배수) 또는 PBR(주가순자산배수)이 낮은 종목을 찾는다. 가치주 정의를 살펴보기 전, PER과 PBR에 대해서 정리해보자. PER =..
※ 2021년 1월 미국 주식시장에서 개인 투자자가 대형 헤지펀드를 이긴 사건이 발생한다. 이 사건을 시작으로 '밈 주식'이란 단어가 유행한다. 밈(Meme) 주식이란 무엇이며, 어떤 사건이 있었을까? 밈(Meme) 주식이란? 밈(Meme)이란 영국의 생물학자 리처드 도킨스가 1976년에 '이기적 유전자'란 저서를 출간하며 만들어낸 개념이다. 문화의 전달에도 유전자 같은 중간 매개물이 필요한데 이 역할을 하는 정보의 형식이 밈이다. 모방을 뜻하는 그리스어 '미메메(mimeme)'를 참고해 만든 용어다. [시사금융용어] 밈주식(Meme Stock), 연합인포맥스 밈(Meme) 주식이란 소셜미디어(SNS) 등 온라인 입소문을 통해 투자자가 몰리는 주식을 말한다. 미국 투자자들은 투자 소셜미디어(SNS) '레..
※ 주식투자에는 여러가지 스타일이 있다. 그 중 대표적인 분류법이 '모멘텀 투자'와 '가치투자'다. 여러분은 이 두 투자 스타일을 정확히 구분할 수 있는가? 또, 본인의 투자 스타일은 어디에 속하는가? 두 스타일을 제대로 알고, 나의 투자 스타일을 돌아보자. 두 스타일의 차이와 장단점을 제대로 알아야 한다. 어설프게 알았다간, '돈을 잃게 될 것이다'. 채권쟁이의 책에서 발견한 모멘텀 투자와 가치투자 주식투자자는 크게 '트레이더'와 '가치투자자'로 나눌 수 있다. 트레이더는 가격의 변화가 가장 중요한 변수다. 가격의 변동이 없다면, 트레이더는 돈을 벌 수 없다. 한편, 가치투자자는 회사의 가치(=내재가치)가 가장 중요하다. 그들은 회사의 가치를 기준으로 투자 판단을 전개한다. 모멘텀 투자와 가치투자에 대..
미국 주식을 하다보면, GAAP 이익과 Non-GAAP 이익을 구분한다는 사실을 발견한다. '하나의 기준'으로 이익을 나타내면 쉬울텐데, 굳이 두 가지 이익을 구분해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GAAP와 Non-GAAP의 차이를 알면 '기업의 이익'이 제대로 보인다. 그리고 제대로 보아야 숨겨진 '보석'을 찾을 수 있다. 이 글을 통해 정의와 특징, 주의점과 활용법을 알아보자. GAAP와 Non-GAAP 정의 GAAP는 'The generally accepted accounting principles'의 약자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회계원칙'으로 해석할 수 있다. 미국의 상장기업은 이 원칙에 따라 회계를 작성하고 보고서를 발표해야 한다. GAAP는 미국 상장 기업이 '반드시 따라야할 원칙'이다. 그래서..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