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IBK투자증권에서 나온 CJ프레시웨이 리포트다. 제목은 '꺾이지 않는 실적과 기대감'이다. 투자의견은 적극매수(유지), 목표가는 7만3000원이다. 올해 1분기 실적은 다음과 같이 전망한다. - 매출액 6701억원(YoY 18.7%) - 영업이익 133억원(YoY 25.6%) - 영업이익률 1.98% 남성현 연구원은 CJ프레시웨이가 1분기 호실적을 거둘 것으로 전망하며, "1)지난해 오미크론 확산에 따른 외식업 기저와, 2)외식 단가 상승에도 불구하고 트래픽이 유지되고 있으며, 3)군 식자재 공급 매출 상승, 4) 점유율 확대, 5)단체급식 식수 증가 및 수주 물량 확대에 따른 성장이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또, "1분기의 경우 1~2월은 설연휴에 따른 영업일수 감소와 뚜렷한 계절성으로 비수기에 ..
10일 하이투자증권에서 나온 유니셈 리포트다. 제목으은 '올해 실적 개선 기사회'다. 투자의견과 목표가는 제시하지 않았다. 유니셈은 반도체/디스플레이 장비 전문기업이다. 주력 제품은 반도체/디스플레이 제조 공정상 발생되는 유해가스 정화장치인 스크러버(Scrubber)와 반도체 주 공정상 안정적인 온도 유지를 제공하는 온도조절 장치 칠러(Chiller)다. 작년 연간 기준 매출 비중은 스크러버 35.2%, 칠러 31.23%, 유지보수 등 33.6%다. 작년 실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매출액 2532억원(YoY -14.5%) - 영업이익 290억원(YoY -33.6%) - 영업이익률 11.45% 리포트를 작성한 이상헌 연구원은 작년 실적에 대해 "매출 감소의 요인은 주요 고객사의 투자 지연 때문이다"..
5일 메리츠증권에서 나온 클리오 리포트다. 제목은 '1Q23E Preview: 또 신기록'이다. 투자의견은 Buy, 목표가는 3만원을 제시했다. 클리오의 1분기 예상 실적은 다음과 같다. - 매출액 737억원(YoY 11.8%) - 영업이익 52억원(YoY 44.2%) - 영업이익률 7.1% 리포트를 작성한 하누리 연구원은 "국내 시장에서 오프라인과 온라인 채널 모두 호실적을 기록할 것이다"고 전했다. 또, "해외시장의 경우 저변 확장 효과가 본격화된다"며, "미국 아마존 호조, 동남아시아 라자드 강화, 기타는 러시아 유통망 추가가 확인되겠다'고 설명했다. 다만, 일본과 중국의 매출액은 감소할 것으로 분석했다. 하 연구원은 "구조적 성장이 기대된다"며, "국내는 쇼핑 행태 변화 수혜, 해외는 신규 거점 ..
5일 IBK투자증권에서 나온 엠투아이 리포트다. 제목은 'OPM 30%인 스마트 팩토리 관련주'다. 투자의견과 목표가는 제시하지 않았다. 엠투아이의 작년 연간 실적은 다음과 같다. - 매출액 417억원(YoY 6.1%) - 영업이익 117억원(YoY 1.3%) - 영업이익률 28% 리포트를 작성한 채윤석 연구원은 "작년 4분기 전방 고객사의 설비 투자 지연 영향으로 2022년 온기 기준 아쉬운 성장률을 기록했다"고 전했다. 올해 실적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전망했다. - 매출액 598억원(YoY 43.5%) - 영업이익 179억원(YoY 53.8%) - 영업이익률 29.93% 채 연구원은 "전방 고객사의 설비 투자가 상반기부터 점진적인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기대되고, 하반기에는 2차전지향 매출과 스마트 ..
5일 다올투자증권에서 작성한 엔씨소프트 리포트다. 제목은 '우려할 만큼 했다'다. 투자의견은 BUY, 목표가는 48만원(하향)이다. 올해 1분기 실적은 다음과 같이 예상했다. - 매출액 4892억원(YoY -38%) - 영업이익 305억원(YoY -88%) - 영업이익률 6.23% 리포트를 작성한 김하정 연구원은 "낮아진 컨센서스와 비교해도 아쉬운 실적이다"며, "리니지W 매출이 작년 4분기 1주년 업데이트의 기저 효과로 한 번 더 하향 안정화 구간을 지나는 영향이다"고 분석했다. 올해 연간 실적은 다음과 같이 예상했다. - 매출액 2.24조원(YoY -12.9%) - 영업이익 2942억원(YoY -47%) - 영업이익률 13.13% 김 연구원은 "1)낮아진 리니지W 매출 수준을 연간으로 반영했고, 2)..
5일 흥국증권에서 발간한 제일기획 리포트다. 제목은 '도약을 위한 숨고르기'다. 투자의견은 BUY(유지), 목표가는 2만9000원(하향)을 제시했다. 2023년 1분기 실적은 다음과 같이 예상했다. - 매출총이익 3491억원(YoY 4.24%) - 영업이익 527억원(YoY -9.91%) - 영업이익률 15.1% 리포트를 작성한 황성진 연구원은 "1분기 이익 성장 기조는 한풀 꺾일 것이다"며, "Captive 고객의 마케팅 비용 효율화 기조와 더불어 디지털 부문 강화를 위한 인력 충원 등의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다"고 분석했다. 또, "전반적인 광고경기 침체 상황 또한 마케팅 수요를 제한하는데 일조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지역별로는 국내와 유럽 등지의 마케팅 수요 감소세는 불가피할 것으로 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