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워런 버핏'이 주목할 만한 국내 주식 20선

최근 읽기 시작한 책이 있다. 제목은 '가치투자는 옳다'로 프랑스의 워런 버핏이라고 불리는 '장마리 에베이야르'에 대한 이야기다. 

etc-image-0


책을 읽다 장마리 에베이야르가 쓰는 투자지표가 나왔다. 그는 EBIT 대비 기업가치(EV)를 활용한다고 한다. EBIT는 Earnings Before Interest and Taxes의 약자로, 이자와 세금을 지불하기 전 이익을 뜻한다. 보통 EBIT는 영업이익과 같지만, 다른 경우도 종종 있다. EBIT는 회사의 자본구조와 세금 관련 이슈를 제외한 이익이기 때문에, 기업의 영업 능력을 통해 만든 이익에 집중하려는 목적이 있다. 

etc-image-1


EV는 Enterprise Value의 약자로, 회사의 가치를 뜻한다. EV는 보통 시가총액에 회사가 가진 현금과 장단기 부채를 모두 합해 구한다. EV는 기업을 인수하려는 주체(투자자)가 그 기업의 가치를 평가할 때 많이 쓰인다.

장마리 에베이야르는 EV/EBIT 지표를 많이 사용한다고 한다. 이 지표 역시 PER처럼 '낮을수록' 매력이 높은 것으로 해석한다. 추가로 그는 '이자비용'이 없거나 적은 기업을 선호한다고 밝혔다. 

장마리 에베이야르가 선호하는 EV/EBIT를 이용해 국내 주식 중 매력적인 종목을 찾아보았다. 추가로 '이자비용'이 없거나 적은 기업을 찾기 위해 '이자보상배율'을 사용했다. 이자보상배율은 영업이익을 이자비용으로 나누어 계산한다. 이 배율은 기업이 영업 활동으로 벌어들인 돈으로 이자를 감당할 수 있는지 나타낸다. 이 배율은 높을수록 좋다. 

정리하면, EV/EBIT가 낮은 기업 중 이자보상배율이 10배 이상인 종목을 찾아보았다. TTM은 연환산으로, 최근 4분기 EBIT의 합을 의미한다. 

etc-image-2

20개 종목을 보니, 충분히 매력적인 종목들이 리스트에 들어왔다. 이를 바탕으로 퀀트투자를 실행해도 되겠다는 생각을 했다. 또한, 위 리스트를 보니 책에 대한 기대치가 더 올라갔다. 프랑스의 워런 버핏은 나에게 무엇을 알려줄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