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로보다] 이마트, 빛 좋은 개살구

etc-image-0

이마트는 코스피에 속한 종목이다. 업종은 백화점이다. 최대주주는 정용진 외 1인이며, 지분율은 28.56%다. 주요 제품은 유통업(81.47%), 식음료업(8.75%), 해외사업(6.48%), 건설레저업(5.04%)다.

etc-image-1

 

이마트의 최근 5년 매출 흐름을 보면,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오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etc-image-2

 

그러나,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다르다. 영업이익은 2019년 크게 하락한 이후,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순이익의 경우 스타벅스 코리아 인수로 인해 '일회성 이익'이 반영됐기 때문에 큰 의미가 없다. 그러나, 2019년과 2020년의 이익을 봤을 때, 일회성 이익이 사라진 이후에도 순이익이 영업이익보다 더 큰 상황은 한동안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etc-image-3

 

이마트의 약점 중 하나는 수익성이다. 영업이익률이 1%를 기준으로 오르내리는 점은 기업 가치 평가 시 '반드사' 할인 평가를 해야 하는 이유다. 

etc-image-4

 

일회성 이익으로 인해 PER이 크게 낮아졌다. 주의해야할 점이다. 물론, 주가가 과거대비 크게 하락한 점도 잊어선 안된다. 이를 모두 고려하면 PER이 실제 10배 수준이 아닐까 예측해본다. 

etc-image-5

 

RSI는 최근 급격히 상승했다가 조정을 받는 모습이다. 다만, 과매도 또는 과매수 구간 모두에 포함되지 않았다. 

etc-image-6

 

거래량 보조 지표인 OBV는 큰 폭으로 움직이고 있다. 상승과 하락 어느 방향으로 튀어도 이상하지 않은 상황이다. 

etc-image-7

 

난 이마트가 '빛좋은 개살구'의 대표 주자라 생각한다. 우리에게 친숙한 기업이고, PER이 현저히 낮은 상황이니 '오해'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수익성이 굉장히 낮으며 이커머스 기업들에 비해 큰 장점이 부족하다. 언론에 기업 이름이 많이 오르내리지만, 소음만 있을 뿐 실제 주주에게 좋을 건 별로 없다. 

난 이마트를 '트레이딩 종목'으로 거래한 적이 있다. 주가와 PER 하락이 너무 심할 때였다. 하방이 막혀있는 가운데, 이마트 이름 값만 해줘도 단기 수익을 얻을 수 있다고 봤다.

다만, 장기 투자로써의 이마트 매력은 크지 않다고 본다. 이마트가 '망하진 않을테니', 또 '유통업 공룡'이라는 명성을 이용하는 것이다. 마치, 파도를 타는 서퍼의 모습이랄까. 

현명한 투자자는 '이름 값'을 항상 조심해야 한다. 빛 좋은 개살구니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