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NH투자증권에서 나온 SK텔레콤 리포트다. 제목은 'AI를 기반으로 새로운 성장 동력 모색'이다. 투자의견은 'Buy(유지)', 목표가는 6만2000원이다. 리포트를 작성한 안재민, 김도희 연구원은 "단기적으로는 중간 요금제 추가 도입, 제4이동통신 출범 가능성 등의 악재가 혼재하고 있으나, MWC23에서 보여줬듯이 중장기 먹거리에 대한 준비를 잘하고 있는 상황이다"고 분석했다. 또, "이번 MWC23에서 5대 영역(①고객/기술, ②시공간, ③AIX, ④Core BM, ⑤ESG)에서 혁신 전략을 제시했다"며, "AI를 기반으로 모빌리티, 메타버스, 자율주행, AI 인프라 및 솔루션을 확장하고, 기존 통신 본업과 미디어에서도 AI를 적용하여 개인의 특성에 맞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할 예정이다"..
27일 부국증권에서 나온 엠플러스 리포트다. 제목은 '경영 정상화 진입'이다. 투자의견과 목표주가는 제시하지 않았다. 먼저, 지난해 4분기 실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매출액 593억원(YoY 406.8%) - 영업이익 23억원(YoY 흑전) - 영업이익률 3.87% 리포트를 작성한 김성환 연구원은 작년 4분기 실적에 대해 "고객사의 라인 설계 변경과 코로나로 인한 중국 봉쇄 조치 등의 영향으로 매출 증가 폭은 제한적이다"고 말했다. 또, "원자재 가격 및 장비 셋업 지연에 따른 제비용 상승으로 이익률 상승도 제한적이었다"고 전했다. 김 연구원은 "다만, 다년간 이어져온 중국 매출채권 리스크가 제고된 이후 큰 폭의 신규수주 확보와 수주잔고의 안정적인 매출인식으로 분기 흑자전환에 성공했다"며, "본격..
27일 IBK투자증권에서 작성한 엠투아이 리포트다. 제목은 '스마트팩토리 필수품, HMI'다. 투자의견과 목표가는 제시하지 않았다. 엠투아이는 1999년 LS산전 제어기기연구소로부터 분산되면서 설립된 스마트 제어 시스템 기업이다. PLC와 제어기기들의 통신 프로토콜을 분석해 300여종이 넘는 전용 통신 프로토콜 라이브러리를 보유했으며, 이를 기반으로 HMI(Human Machine Interface) 사업을 한다. 지난 2020년 7월 코스닥 시장에 상장됐다. HMI는 산업 현장에서 여러 장치를 제어하는 PLC를 모니터링 및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 디지털 화면을 표시해 주는 장치라고 한다. 주요 경쟁사로는 슈나이더, 미쓰비시, 지멘스 등의 제어기기 전문업체가 있다. 경쟁사들은 세트 위주 판매와 제한적인..
28일 하나증권에서 나온 KT 리포트다. 제목은 '아직 들어갈 때 아닙니다'다. 투자의견은 BUY, 목표가는 4만5000원이다. 리포트를 작성한 김홍식, 고연수 연구원은 "매수 의견과 목표가는 유지하지만, 여전히 올해 상반기엔 비중 축소 의견을 지속한다"고 밝혔다. 두 연구원은 "필자 예상대로 경영진이 교체됨에 따라 향후 수익성 위주 경영 정책/배당 및 주주이익 환원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며, "신임 CEO 성향과 경영 비전이 투자가들에게 인지되기 전까진 혼란한 상황이 지속될 것이다"고 예상했다. 또, "최소 4~5월까진 불안한 투자 환경이 계속될 가능성이 높아 단기 주가 하락 폭 심화에도 매수를 한 템포 늦출 것을 권한다"고 의견을 말했다. 두 연구원은 "기저를 감안할 때 1분기 영업이익..
27일 신한투자증권에서 나온 더존비즈온 리포트다. 제목은 '지나간 겨울, 봄이 오다'다. 투자의견과 목표가는 각각 '매수(신규)', 4만7000원이다. 리포트를 작성한 오강호, 원재희 연구원은 "2022년 코로나19 이후 디지털 전환 수요 감소로 실적 부진의 시기를 보냈다"며, "다만, 업무 효율화와 보안 강화로 디지털 전환 트렌드는 선택이 아닌 필수로, 올해 주목하는 이유다"고 전했다. 두 연구원은 "2020, 2021년 호실적을 기록했다"며, "해당 기간 영업이익 증가율은 10~20% 수준이었다"고 전했다. 호실적 이유에 대해서는 "코로나19에 따른 영향으로 1)정부 정책 지원(K-바우처) 확대, 2)중소/중견 기업의 디지털 전환 니즈 확대 때문이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최근 분위기는 달라졌다며, "..
23일 한국투자증권에서 나온 심텍 리포트다. 제목은 '실적은 하반기, 주가는 상반기부터 회복'이다. 투자의견은 '매수(유지)', 목표주가는 4만원(하향)이다. 2022년 4분기 실적 추정치에 대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매출액 3927억원(YoY -0.5%) - 영업이익 443억원(YoY -42.4%) - 영업이익률 11.28% 리포트를 작성한 조철희 연구원은 "영업이익이 컨센서스보다 44% 적을 것이다"며, "모듈PCB는 DDR5 매출액이 본격적으로 시장되고, 패키징기판에서는 비메모리 애플리케이션 기판 고다층화가 지속되면서 ASP는 상승하고 있지만, 메모리 관련 기판 물량 감소 영향을 피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조 연구원은 "메모리 고객사들의 생산이 2023년 하반기부터 바닥을 다지고 늘어날 전망..